전체 글 (34)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 Switch Expression ※ 2021년 11월 23일에 작성된 글입니다.🕹 Switch Expressionswitch를 명령문(statement) 뿐만 아니라 표현식(expression)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JDK 12, 13에서 preview, JDK 14에서 standard로 제공된다.JEP 361 Switch Expressions코드로 비교해보자Beforeswitch (day) { case MONDAY: case FRIDAY: case SUNDAY: System.out.println(6); break; case TUESDAY: System.out.println(7); break; case THURSDAY: case SATURDAY: .. [Java] 레코드(Record) ※ 2021년 11월 21일에 작성된 글입니다.레코드(Record)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의 투명한 전달자 역할을 하는 클래스Kotlin의 data class와 비슷한 것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JDK 14에서 preview로 도입되었으며, JDK 16에서 정식으로 도입되었다.JEP 395 Records코드로 비교해보자Beforeclass Point { private final int x; private final int y; Point(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int x() { return x; } int y() { return y; }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velog 분석 ※ 2021년 11월 18일에 작성된 글입니다.구조 분석Open Sourcevelog는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있다.velog-clientvelog-serverTech StacksGitHub 저장소 README.md를 참고했다.velog-clientReactReact RouterTypeScriptReduxApollo GraphQLStyled ComponentsRemarkCodemirrorServerless FrameworkAWS Lambdavelog-serverNode.jsTypeScriptApollo GraphQLPostgreSQLTypeORMRedisElasticSearchKoaServerlessAWSLambdaSESAPI GatewayS3Cloudfront대략적인 구조?Koa 프레임워크 백엔드Reac.. [운영체제] 메모리 단편화(memory fragmentation) ※ 2021년 10월 29일에 작성된 글입니다.🎞 메모리 단편화(memory fragmentation)ProcessfreeProcessfreeProcessfreeProcess외부 단편화(external fragmentation)프로그램 크기 > 분할의 크기일 때, 해당 분할이 비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을 적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메모리 공간어떤 프로그램에도 배당되지 않은 빈 공간현재 상태에서 사용될 수 없는 작은 분할내부 단편화(internal fragmentation)프로그램 크기 일 때, 해당 분할에 프로그램을 적재하고 남는 메모리 공간하나의 분할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조각압축(compaction)ProcessProcessProcessProcess free .. [네트워크] 라우팅(routing) ※ 2021년 10월 26일에 작성된 글입니다.🔀 라우팅(routing)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거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라우터(router)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송시키는 제3계층(network layer) 장비🤝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데이터 전송을 위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여러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라우터 간의 상호 통신규약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AS(Autonoumous System; 자율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개발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Bellman-Ford 알고리즘 사용최대 홉 수.. DB에서 Index를 이용해 데이터에 접근하는 과정 ※ 2021년 10월 24일에 작성된 글입니다.📖 Index(인덱스)?테이블에서 레코드들에 대한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레코드에 대한 물리적 저장 위치를 별도로 기록한 구조인덱스가 없으면?모든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검색해서 원하는 레코드를 찾아야 한다. O(n)그래서 어떻게 데이터를 찾아가나?인덱스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에 따라 다르다. 아래 내용을 보자.🌲 B+ Tree 인덱스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B+ 트리를 이용한 인덱스B+ 트리 인덱스의 구성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레코드에 대한 주소가 기록된 단말 노드(leaf node)단말 노드를 찾아가기 위한 검색키와 하위 노드의 주소로 구성된 중간 노드(internal node)경로의 출발점이 되는 루트 노드(root node)찾아가는 과정여기서.. confused dog confused dog cool doge cool doge 이전 1 2 3 4 5 다음